여 유 ~/인생 ...

[스크랩] 알기쉬운 제사지내는법

Time(천둥새) 2013. 8. 9. 13:21

1.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 차리는 법만큼 복잡하고 어려운 것도 없다. 그러나 그 원리를 알고 보면 어느 것이 원칙인지 금방 알 수 있다.  음식의 중요성 순서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즉 음식 중 가장 중요한 밥 국과 같은 주식(主食)을 신위 쪽에서부터 제1 가까운 1열에, 그 다음 중요한 고기를 2열에, 그 다음 중요한 부침이를 3열에, 그 다음 중요한 나물을 4열에, 그리고 후식인 과일을 5열에 차리는 것이다.

 

그리고 제사상에는 이 세상의 모든 산해진미(山海珍味)를 차린다는 뜻이 있는 것이다.

즉, 산(山)에서 생산되는 것, 들(野)에서 생산되는 것, 집(家)에서 기른 것, 집에서 만든 것, 바다(海)에서 생산되는 것 등을 모두 차리는 것이다. (산소에 갈 때 주과포(酒果脯)라 하여 술 1병, 사과 1개, 포 1개만 갖고 가는 것도 이 격식에 따른 것이다. 즉 산야(山野)에서 생산되는 사과에, 집(家)에서 생산되는 술에, 바다(海)애서 생산되는 포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 제사상은 북(北)쪽에 차리는 것이 원칙이나. 북쪽에 차렬 수 없을 때엔 아무 쪽으로 차려도 되는 것이다. 그럴 경우엔 그 쪽을 북쪽으로 생각하고 제물을 차리면 된다.

 

 신위(神位)
지방(사진)을 모시는 법

고서비동(考西?東).라는 것은 "남자 조상님은 서쪽, 여자 조상님은 동쪽으로 모셔라" 는 뜻인데 음양이 반대이다. 그것은 양(男)은 동쪽으로 가려하고, 음(女)은 서쪽으로 가려하기 때문에 이렇게 모셔야 서로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1열에는 음식 중 가장 중요한 主食인 밥(메)과 국(탕)을 차린다.

밥, 국, 술잔은 물론, 떡, 국수, 설날 떡국, 추석날, 송편, 물, 수저도 여기에 차린다. (밥과 국의 경우 ? 죽은 분에게 올리는 것이니 음양이 반대라야한다라고 생각한다면 서반동갱(서쪽에 밥, 동쪽에 국)으로 차리고, * 죽은 후에도 살아 계실 때와 똑같은 모습으로 계신다. 라고 생각한다면 동반서갱(동쪽에 밥, 서쪽에 국)으로 차리면 되는 것이다.

 2열에는 주식 다음으로 중요한 고기(肉)를 차린다. (이 2열부터는 산야가해(山野家海)의 순서대로 차린다.

 山짐승인 소고기산적에, 들(野)짐승인 돼지고기수육에, 집(家)에서 기른 닭찜에, 집에서 가공한 포에, 바다(海)에서 생산되는 조기를 차린다. (옛날 가난할 때는 고기를 살 형편이 못 되어 포를 고기반열인 첫 번째에 놓거나, 고기를 조금 사다 고기국(육탕=肉湯)을 끓이고, 채소의 국(채탕=菜湯), 생선의 국(어탕=魚湯)을 끓여 3탕으로 차렸으나, 지금은 덩어리 고기를 차림으로서 3탕은 차리지 않는다.)

 3열에는 고기 다음으로 중요한 전(煎) 즉 부침이를 차린다

 역시 산야가해(山野家海)의 순서대로 산(山)의 짐승인 소고기(돼지고기로도 한다)가 들어간 동그랑땡에, 들(野)에서 생산되는 배추를 넣은 부침이에, 집(家)에서 생산한 간장에, 집에서 만든 두부부침에, 바다(海)에서 생산된 생선의 포를 넣은 전을 차린다.

 4열에는 부침이 다음으로 중요한 나물을 차린다.

 역시 산야가해의 순서에 따라 산(山)고사리에, 들(野)도라지에, 집(家)에서 기른 숙주나물에, 집에서 담근 물김치에, 바다(海)나물인 김을 차린다,

 5열에는 후식인 과일(果實)을 차린다. 여기에서는 조율이시(棗栗梨?)나 홍동백서(紅東白西)로 차린다.

 조율이시(棗栗梨?) 대추는 씨가 하나라 임금을 뜻하니 첫번째 놓고, 밤은 한 송이에 3개가 들어있어 3정승을 뜻하니 2번째 놓고, 배, 사과는 씨가 6개라 6조판서(判書)를 뜻하니 3, 4번째 놓고, 감은 씨가 8개라 8도관찰사(觀察使)를 뜻하니 5번째 놓으라는 것이다. 그리고 씨가 많은 것, 즉 백성을 뜻하는 과일로서 참외, 수박, 포도 같은 것을 놓으라는 것이다, (옛날에는 1년내내 과일이 있는 것이 아니라서 곳감, 색동사탕, 약과, 산자 같은 한과로 대신했다.)   * 조율이시를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홍동백서(紅東白西) 즉 동쪽은 양이고 서쪽은 음이니 붉은 색 과일은 동쪽으로, 백색과일은 서쪽으로 놓으라고 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밥과 국(탕) 술에 5육(肉) 5전(煎) 5채(菜) 8과(果)를 차리면 완전한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차렬 수 없을 때에는 3육, 3전, 3채, 5과를 기본으로 하고, 더 차리고 싶으면 더 차리면 되는 것이다.

 

* 그리고 설 추석 큰제사(門中大祭)의 겨우, 그 많은 조상님들의 밥을 어떻게 차리는가라는 것인데, 이것도 “전부"라는 뜻의 3 그릇만 차리던가, "아주아주 많은” 이라는 뜻이 담긴 9그릇만 차리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산적 부침이 과일 같은 것도 3개씩 또는 9개씩이면 충분한 것이다. (큰제사-아래에 설명되어 있음)

 

그리고 오신채(五辛菜)라 해서 고추, 파, 마늘, 생강, 식초 같은 것을 쓰지 말라고 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은 불교에서 스님들이 이것을 먹으면 흥분되고 음탕한 생각을 한다하여 금하는 것이지, 유교를 바탕으로 하는 제사에서는  금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3가지 이상이 되었을 때는 그대로 더 차리면 되는 것이지 꼭 훌 수로만 차리라는 법도 없는 것이다.

 

* 다음과 같은 말들은 유식하게 들리지만 "음양을 따르라"는 것뿐이니 참고로 할뿐 외울 필요는 없다.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팔딱팔딱 뛰니 양(동쪽), 소 돼지는 느리니 음(서쪽,)

두동미서(頭東尾西). 머리는 양이라 동쪽, 꼬리는 음이라 서쪽,

배남복북(背南腹北). 등은 양이라 남쪽, 배는 음이라 북쪽(배가 신위 쪽으로)

생동숙서(生東熟西). 생(生)것은 양이라 동쪽, 익(熟)은 것은 음이라 서쪽,

좌포우혜(左脯右醯). 포(脯)는 죽은 것이니 음(서쪽), 식혜는 살아있으니 양(동쪽), (옛날 가난하여 고기를 살 형편이 못 되어 포를 고기반열에 놓았을 때 좌측 첫 번째에 놓으라는 것임, 요즘은 해당되지 않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색은 양이라 동쪽, 흰색은 음이라 서쪽,

조율이시(棗栗梨?). 씨의 수대로 놓으라는 것 

 

 

*  5육 5전 5채 8과로 차린 완전한 제사상
* 밥,국,잔만 2분일 때는 2조. 4분일 때는 4조. 설, 추석, 큰제사 같은 전 조상님을 모실 때는 3조나 9조

 

  신위  

촛 불

 

신위/지방

 

촛 불

1열 주식

(국수)

국          밥

 

국          밥

(떡)

2열 고기

소고기(산적)

돼지(수육)

닭(삶음)

조기(찜)

3열 부침

동그랑땡

야채부침이

간장

두부부침

생선포부침이

4열 나물

고사리

도라지

숙주나물

물김치

5열 과일

    대추   밤

     배  사과

     감/곳감

     포도  참외

        수박

 

  ?산에서

    생산된 것

   ?들에서

    생산된 것

   ?집에서

    생산한 것

   ?집에서

     가공한 것

  ?바다에서

     생산된 것

향 불

 

주전자

모사그릇

 

 

*  간소하게 차린 제사상
1열엔 주식, 2열엔 반찬, 3열엔 과일의 순서로 차리는 방식으로서 이렇게해도 됨

신위

촛불

 

신위

 

촛불

1열 주식

 

국       밥

 

국       밥

 

2열 반찬

고기
또는

부침이

나물

조기

3열 과일

대추

사과

기타과일

향 불

 

주전자

모사그릇

 

 

2. 제사 지내는 날자

많은 사람들이 “돌아가신 날 밤에 지내는 것이 아니라 그 전날 밤 12시에 지낸다.”라고하면서도 그 이유를 알지 못한다. 알고 보면 간단한데도... 생각해 보라. 할아버지가 3월 5일 돌아가셨다고 하면 그 3월 5일은 언제부터 시작되는가를.., 그 전날 밤 12시(子時)부터가 아닌가, 즉 하루 전날 지내는 것이 아니라 돌아가신 날의 맨 첫 시간에 지내는 것이다. * 크리스마스의 경우, 예수 탄생일인 12월 25일에 미사를 올리는 것이 아니라 24일 밤 12시에 올리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런데 요즘은 모두가 바쁘다 보니 밤 12시에 지내고 돌아가면 피곤하다하여 1시간 앞당겨 밤11시(이때부터 자시(子時)임으로)지내거나, 돌아가신 날 즉 3월 5일 저녁 8시쯤 지내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또 요즘은 돌아가신 날마다 지내자니 설과 추석을 합하여 1년에 10번도 더 지내는 집도 있어 생활상 어려움이 많다하여 부모님 제사만을 돌아가신 날 밤에 집에서 지내고 그 외는 모두 오곡백과(五穀百果)가 풍성한 음력10월 첫 일요일이나 개천절에 사당이나 묘나 큰집이나 일가친척이 모두 모일 수 있는 곳에서 한번으로 지내는 사람들이 많다. 이것을 문중대제 또는 큰 제사라한다.


큰제사로 한번에 지내니까 언뜻 생각하기에 제사를 빼먹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1년에 한번씩 따로따로 모시던 것을 한번에 모셔 놓고 지내는 것뿐이지 빼먹는 것은 아니다.” 조상님들께서도 외롭게 따로따로 오시는 것 보다는 좋고 후손들 역시 1년에 한번이라 모두가 참석해서 좋은 것이다. 그리고 후손들도 큰제사가 없으면 형제나 일가친척이 각자 제사를 지내게 되어 서로가 멀어질 수밖에 없지만 큰제사로 지내게 되면 모두가 모이게 되어 서로 화목하게 되고 또한 돕게 되어 좋은 것이다.


* 고조까지만 밤 제사를 지내라는 재래의 4대봉사도 모순이다. 지금까지는 부모 조 증조 고조까지만 집에서 밤 제사로 지내고 그 위 분들은 시제(時祭)로 지내라고 했던 것인데, 문중에 사당이 있을 때만 가능했다. 사당이 없는 문중의 5대조이상의 조상님들은 제사상 한번 받지 못하셨던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결혼 전에 돌아가신 분들이나 자손이 끊어진 분들은 제외되었던 것인데 이것도 모순이다. 그분들도 모두 우리의 조상이기 때문이다. 문중대제로 지내면 이 모든 분을 모두 지내게 되는 것이다.


즉 시제(時祭)는 고조까지의 제사를 집에서 지내고 그 윗분들의 제사는 사당에 가서 지내는 것이지만, 큰제사는 부모님 제사만 집에서 지내고 그 윗 모든 조상님들의 제사는 사당이나 묘나 큰집이나 일가친척이 모두 모이기쉬운 곳에서 지내는 것이다. 그리고 시제는 “이번에는 몇 대손까지” 라며 사람을 뺏다 넣었다 하고 제물도 바꾸는 식의 복잡한 격식을 따르지만 큰제사는 그럴 필요가 없이 집에서 밤 제사를 지낼 때와 같이 한번 차린 상에 참석자 모두가 한번으로 지내면 되는 것이다. 

 

3. 설과 추석 차례지내는 법

설과 추석은 제사가 아니다. 명절(名節)인 것이다. 따라서 차례(茶禮)라고 한다.

 

* 설은 새해를 맞이하는 기쁜 날,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 푸짐하게 음식을 차려 놓고 선대 조상님들께는 감사의 제(祭)를 올리고, 웃어른들께는 만수무강하심을 비는 세배(歲拜)를 올리고 만수금(萬壽金)을 드리고, 웃어른들은 후손들에게 “복을 받으라.”는 덕담(德談)올 내리고 세뱃돈(복)올 내리는 축복(祝福)의 날인 것이다.


* 추석은 오곡백과(五穀百果)가 풍성한 8월 한가윗날, 햇곡으로 떡을 빚고 술을 담그고 통통히 살이 오른 가축을 잡고, 잘 익은 햇과일들로 푸짐하게 상을 차리고,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 선대조상님들께는 감사의 제(祭)를 올리고, 후손들은 마음껏 먹고 마시며, 서로가 따뜻한 정을 나누는 기쁨의 날인 것이다.


라서 제삿날과는 달리 제례(祭禮)법 같은 것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전 조상님과 후손들이 함께 즐겁게 먹고 마시며 화합을 다진다는 의미에서 지방도 현 전조상님 신위 한 장으로 쓰고. 설에는 떡국 3그릇이나 9그릇. 추석에는 밥 3그릇이나 9그릇에 송편 1그릇을 차리고. 기타는 일반제사상 차리는 법에 따라 차리되, 아무 것이라도 푸짐하게 차리면 되는 것이다.

 

왜 3그릇이나 9그릇이라고 했는가하면, 설이나 추석은 전조상님을 모시는 차례(茶禮)임으로 떡국이나 송편 등을 많이 차려야 하지만 그렇게 할 수 없음으로 모든 것, 전부라는 뜻의 3그릇만 차리던가, 아주아주 많다는 뜻의 9그릇을 차리라는 것이다.

 

그리고 설과 추석에는 단작무축(單酌無祝)이라하여 독축, 아헌, 종헌, 합문을 생략하는 것이다.

즉 축문도 읽지 않고 술도 제주만 한잔 올리고 기타 가족들은 모두 첨작으로 올리고. 조상님들 식사시간에도 나가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제사 때는 조상님께서 편히 식사하시도록 밖에 나갔으나, 명절에는 전 조상님과 후손들이 모두 함께 즐긴다는 의미에서 나가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추석에는 온 가족이 조상님의 산소에 다녀오는 것도 좋은 것이다.

 

* 새로운 제사 방식

 

제사명

일시/장소

참석자

제사형식/지방형식

조상님
제사
(祭祀)

아버님 제사

아버님 기일/ 집에서

친자(親子)
위주로
친척들

일반제사형식
현 아버님 신위
현 어머님 신위

어머님 제사

어머님 기일/ 집에서

큰 제사/문중대제
 (전조상님의 제사)

문중에서 정한 날
 문중에서 정한 장소
 (사당, 묘소, 큰집, 등)

문중전부

일반제사형식
(독축,아헌,종헌,합문 생략)
현 전조상님 신위
(야외에서는 지방을 생략)

차례
(茶禮)


전조상님과 후손들이 모두모여 즐겁게 보냄

설날 / 장손의 집에서

친척전부

일반제사형식
(독축,아헌,종헌,합문, 생략)
현 전조상님 신위

추석
전조상님과 후손들이 모두모여 즐겁게 보냄

추석날 /장손의 집에서

* 부모님 제사만을 집에서 지내고 그 윗분들의 제사는 모두 큰제사로 지내기 때문에 설, 추석을 합하여 연 5회만 지내면 되는 것이다. 지방도 아버님 제사 때와 어머님 제사 때 현 아버님 신위, 현 어머님 신위 라 쓰고, 큰제사, 설, 추석에는 현 전조상님 신위 라고 한장으로 쓰면 되는 것이다.

 

 

* 결론

지금 우리가 따르고 있는 제례(祭禮)절차가 2500년 전 중국 유교에서 유래되었다는 것과 지금은 중국에서조차 지키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도 우리민족과 21세기에 맞는 방식으로 혁신해야 할 것이다. 절하는 방법이나 복식에도 구애받을 필요가 없고 女子라고 빠질 이유도 없는 것이다. 평소에 조상님을 대하듯 하면 되는 것이다. 사진을 모셔놓고,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을 차려놓고 지내도 되는 것이다. 하기야 제례법(祭禮法)을 만드신 공자(孔子)께서도 대악필이 대례필간(大樂必易 大禮必簡)큰 잔치는 쉬어야 하고 큰 제사는 간단해야 한다고 하지 않았던가,

 

 출처 :더 좋은 내일을 위하여 원문보기   글쓴이 : 청솔

 

출처 : 재미시요람
글쓴이 : 재미시요람 원글보기
메모 :